본문 바로가기
MiddleWare(미들웨어)/WebtoB

[WebtoB6] 신규 기능 및 스펙 확인하기

by wonkidoki 2025. 3. 6.
반응형

WebtoB6는 2024년 10월 7에 릴리즈 된 제품으로 티맥스소프트 WebtoB 최신 버전이다.

현재 Linux OS에서만 설치가 가능한 상태이다. 다른 OS는 추후 제공 예정이라고 한다.

WebtoB 기본 설치시 Trial License (5 User 제한) 가 들어가므로 데모 혹은 정식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변경하도록 하자.

WebtoB5 버전까지는 http.m 파일로 config를 설정 했는데 WebtoB6 부터는 설정 파일이 json 파일로 변경되었다.

기존 설정 내용과 아얘 달라져 설정 내용 보는데 어색할 수 있다. (webtob-config.json 파일)

 

다운로드 링크

https://www.tmaxsoft.com/kr/download/middleware/WebtoB/download?seq=489

 

로그인 | 티맥스소프트

티맥스소프트 웹사이트 회원이 되시면 웹사이트의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www.tmaxsoft.com


릴리즈 노트(공식 홈페이지 참고)

(1)보안기능 확보
  - 필터기능을 통한 WAF(WebApplicationFirewall)보안모듈 제공

(2)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최적화 및 관리편의성 개선
  - Single-process & multi-thread 모델기반의 시스템 아키텍쳐 변경
  - 바이너리타입의 환경설정파일을 다양한 운영환경에 제약없이 사용가능 한 표준화된 YAML/JSON 포맷으로 변경
  - REST API 통신을 통한 환경설정의 동적변경으로 시스템 무중단 고가용성 확보

(3)라우팅 최적화
  - 라우팅 룰 설정(Connection timeout 및 Http Response code 기준)을 통한 FO/FB  
  - Shared Queue 도입으로 Sticky Session 및 Flexible Sticky Session 의 효율적 자원배분 

(4)대용량 요청처리 CPU 자원사용률 개선
  - HTH와 Worker Thread 간 스레드 통신 최적화로 대용량 요청처리 시 CPU사용율 5%~20%로 사용률 절감

WebtoB6 가이드

https://docs.tmaxsoft.com/ko/tmaxsoft_docs/main/webtob/index_webtob_6.html

 

TmaxSoft Documentation | Documentation

WebtoB의 사용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docs.tmaxsoft.com

 

WebtoB6 설치시 시스템 환경 확인

WebtoB를 설치하기 전에 아래의 시스템 환경을 미리 확인합니다.
  • 호스트 이름
    WebtoB를 정상적으로 기동하기 위해서는 WebtoB 환경 설정 파일의 node/name에 호스트 이름을 설정해야 합니다.
    Linux 시스템에서는 uname –n 명령 실행 또는 "/etc/hosts" 파일을 확인하여 호스트 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ebtoB는 설치 과정에서 호스트 이름을 자동으로 찾아내서 환경 설정 파일(webtob-config.yaml)에 등록합니다.
     
  • 포트 번호
    WebtoB가 기동될 때 외부 클라이언트(인터넷 브라우저)로부터의 연결을 기다리는 포트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웹 서버는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는 80번 포트를 사용하기 위해 'root' 권한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80번 포트를 사용하려면 'root' 권한을 가잔 계정이 필요하며,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WebtoB를 설치하려면 1024번 이후의 포트 번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만약 80번이 아닌 다른 포트를 사용할 경우 브라우저에서 서비스 요청 시 해당 포트 번호를 명시해야 합니다.
    또한 WebtoB에서 사용할 포트 번호가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이미 사용 중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포트 번호를 변경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포트 번호를 알려주어야 합니다. 환경 설정 파일에 포트 번호를 등록하기 전에 이러한 사항을 확인한 후 설정해야 합니다.
    다음은 웹 서버의 포트 번호가 '8080’일 경우의 예시입니다.
    http://tmaxsoft.com:8080/index.html

  • 환경 변수
    WebtoB를 설치하기 전에 현재 사용 중인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이전에 WebtoB가 설치된 경우 설치 경로가 혼동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설치 내용이 있는지 확인한 후 관련 환경 변수를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GLIBC 버전 확인
    WebtoB는 GLIBC 2.26 이상에서만 동작하므로 WebtoB 설치 전 시스템의 GLIBC 버전을 확인합니다.
    다음은 GLIBC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getconf -a | grep libc
    GNU_LIBC_VERSION glibc 2.35

    * GLIBC 버전이 2.26보다 낮으면, WebtoB는 정상적으로 설치되더라도 기동되지 않습니다.
     
  • File Descriptor 확인
    File Descriptor(이하 FD)는 WebtoB에서 동시에 실행되는 프로세스 수와 동시 접속자 수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FD 값이 동시에 실행되는 프로세스 수와 동시 접속자 수의 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WebtoB에서 운영체제에 따라 최적의 성능을 위해 사용하는 FD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UNIX/Linux K.4.15 OS 16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