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badmin 에서 MS(Container) 설정, JVM Option, Session, DataSource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다.
- Webadmin 접속 방법은 http://WAS IP:10000/webadmin 이다.
- Webadmin 의 접속 기본 값은 administrator / jeusadmin 이다. 보안취약점에 걸리는 경우가 있어 ID / PW 를 변경하기도 한다.
ID/PW 변경하기 위해서 JEUS를 중지 하고 작업 해야하니 참고 바란다.
ID / PW를 변경하기 위해 수정해야할 파일이 있다.
JEUS6
JEUS6.0/config/`hostname`/security/SYSTEM_DOMAIN/accounts.xml
JEUS6.0/config/`hostname`/security/SYSTEM_DOMAIN/policies.xml
JEUS7,8
JEUS8/domains/jeus_domain/config/security/SYSTEM_DOMAIN/accounts.xml
JEUS8/domains/jeus_domain/config/security/SYSTEM_DOMAIN/policies.xml
수정해야할 내용(아래 표는 JEUS6 이지만 JEUS7,8도 변경할 내용은 동일하다.)
기본적으로 base64로 암호화 돼있다. 복호화 할 경우 jeusadmin으로 나온다.
accounts.xml(JEUS6 기본 설정)
<?xml version="1.0"?>
<accounts xmlns="http://www.tmaxsoft.com/xml/ns/jeus" version="6.0">
<users>
<user>
<name>administrator</name> // Webadmin ID
<password>{base64}amV1c2FkbWlu</password> // Webadmin PW
<group>Administrators</group>
</user>
</users>
<groups>
<group>
<description>A group for administrators</description>
<name>Administrators</name>
</group>
</groups>
</accounts>
|
policies.xml.xml(JEUS6 기본 설정)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andalone="yes"?>
<policies xmlns="http://www.tmaxsoft.com/xml/ns/jeus" version="6.0">
<policy>
<role-permissions>
<role-permission>
<principal>administrator</principal> // Webadmin ID
<role>AdministratorsRole</role>
</role-permission>
<role-permission>
<principal>anonymous</principal>
<role>jndiUser</role>
</role-permission>
</role-permissions>
<resource-permissions>
<context-id>default</context-id>
<resource-permission>
<role>AdministratorsRole</role>
<resource>jeus.*</resource>
<actions>*</actions>
</resource-permission>
<resource-permission>
<role>jndiUser</role>
<resource>jeus.jndi.*</resource>
<actions>lookup</actions>
</resource-permission>
</resource-permissions>
</policy>
</policies>
|
ID는 타이핑해서 바꿀 수 있지만 PW는 암호화를 해줘야 한다.
암호화 하기위해서 JEUS에서 제공하는 encryption 명령어를 사용 한다.
사용법
JEUS6 : encryption 암호화 알고리즘 "Webadmin PW"
JEUS7,8 : encryption 암호화 알고리즘 -domain domain "Webadmin PW"
-domain domain 값은 jeus 설치시 설정한 domain 명이다.(Default jeus_domain)
특수문자가 들어갈 경우 패스워드에 쌍따옴표 혹은 따옴표가 들어가야하는데 디코딩 값을 보고 바꿔줘야 한다. 디코딩 값에 따옴표나 쌍따옴표가 들어가면 안된다.
사용 예시

JEUS6 암호화, 따옴표와 쌍따옴표의 차이 확인(디코딩 값에 따옴표가 들어가면 안 된다)

JEUS8 암호화, 따옴표와 쌍따옴표의 차이 확인(디코딩 값에 따옴표가 들어가면 안 된다)
암호화 한 값은 다음과 같이 변경하면 된다.
policies.xml에도 ID를 jeusjeus로 변경
accounts.xml 수정후
<?xml version="1.0"?>
<accounts xmlns="http://www.tmaxsoft.com/xml/ns/jeus" version="6.0">
<users>
<user>
<name>jeusjeus</name> // Webadmin ID
<password>{AES}T5tSZyttURxAozboaAo/idCawAK4au51v1SBpYBJ3Yw=</password> // Webadmin PW
<group>Administrators</group>
</user>
</users>
<groups>
<group>
<description>A group for administrators</description>
<name>Administrators</name>
</group>
</groups>
</accounts>
|
추가로 변경할 파일이 있는데 JEUS/bin 경로에 있는 jeusEncode 파일이다.
-u -p 옵션으로 명시했다면 상관 없지만 -f 옵션으로 암호화 한 파일을 불러오게 했다면 변경해줘야 한다. 해당 옵션은 Webadmin ID/PW 를 가르키기 때문이다.
jeusEncode 파일은 설치시 생성돼있는 파일이 아니다. 그렇기에 파일 명이 다를 수도 있으며 파일 명이 설정 돼있는지는 기동 스크립트의 내용을 확인해봐야 한다.
JEUS6 jeusEncode 내용, 해당 값을 변경해주면 된다.
base64 // 암호화 알고리즘
administrator // Webadmin ID
amV1c2FkbWlu // Webadmin PW
----------------- 변경 후 -------------------
AES
jeusejeus
T5tSZyttURxAozboaAo/idCawAK4au51v1SBpYBJ3Yw=
|
jeusEncode의 경우 JEUS6은 Webadmin PW만 암호화 하면 되지만
JEUS7,8 은 Webamdin ID와 PW를 한꺼번에 암호화 해야한다.
사용법
encryption AES -domain jeus_domain 'ID:PW'
JEUS8.5 의 경우, 암호화 방법이 다르다. 위 방법으로 하면 안 되니 참고한다.

JEUS8암호화, 이 역시 따옴표와 쌍따옴표를 잘 확인한다.
JEUS7,8 jeusEncode 내용, 해당 값을 변경해주면 된다.
jeus_domain:administrator Zp0bh7f4ZXLBAmB+jQZCM3zmgLbMJLKwLsJprrvceYhmT79ryDmREVf3DL1lrAk8
adminServer:10000 Zp0bh7f4ZXLBAmB+jQZCM3zmgLbMJLKwLsJprrvceYhmT79ryDmREVf3DL1lrAk8
----------------- 변경 후 -------------------
jeus_domain:administrator 9TKdD78M7Ktew3WXOPxYKQdLtlPvRLRUnsPW3Agos7U3xrAOsO/MUgCqP2p+Zpdn
adminServer:10000 9TKdD78M7Ktew3WXOPxYKQdLtlPvRLRUnsPW3Agos7U3xrAOsO/MUgCqP2p+Zpdn
|
JEUS8.5의 jeusEncode 암호화는 명령어를 통한 방법보다 아래 방법을 추천한다.
accounts.xml 과 policies.xml 파일을 먼저 변경 한 후
dsboot 명령어에 -u 변경할 Webadmin ID -p 변경할 Webadmin PW 입력.
dsboot 를 실행하면 Windows의 경우 C:/사용자/PC 유저명/.jeusadmin 경로에 .jeuspasswd 파일이 갱신된다. Linux의 경우 계정 홈경로에 생성된다.
해당 파일을 복사하여 jeusEncode로 사용하면 된다.
(dsboot 에서 -u -p 옵션은 다시 -f 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