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ddleWare(미들웨어)74

[JEUS7,8] 로그 버퍼(Log Buffer) 사이즈 변경하기 - JEUS 로그의 경우 버퍼 사이즈를 별도로 두어 로그가 바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버퍼에 쌓아 두었다가 버퍼 양 만큼 차면 한 번에 로그를 출력하는 형태로 되어있다.- 기본값 버퍼 크기는 1024 바이트로 원하는 경우 0 바이트로 변경하여 로그가 바로바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1024 바이트 인 이유는 로그로 인한 부하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함으로 1024 바이트 만으로도 충분히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한줄 씩 바로 출력하여 보고 싶다면 해당 버퍼 설정을 변경하면 된다. 1. Servers > MS > Basic > System Logging > jeus 선택 2. FileHandler 선택 3. 고급선택사항에 있는 Buffer Size 수정 해당 설정은 설정 후 MS 재 기동이 필요하다. 2025. 4. 17.
[WebtoB6] 신규 기능 및 스펙 확인하기 WebtoB6는 2024년 10월 7에 릴리즈 된 제품으로 티맥스소프트 WebtoB 최신 버전이다.현재 Linux OS에서만 설치가 가능한 상태이다. 다른 OS는 추후 제공 예정이라고 한다.WebtoB 기본 설치시 Trial License (5 User 제한) 가 들어가므로 데모 혹은 정식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변경하도록 하자.WebtoB5 버전까지는 http.m 파일로 config를 설정 했는데 WebtoB6 부터는 설정 파일이 json 파일로 변경되었다.기존 설정 내용과 아얘 달라져 설정 내용 보는데 어색할 수 있다. (webtob-config.json 파일) 다운로드 링크https://www.tmaxsoft.com/kr/download/middleware/WebtoB/download?seq=489 로.. 2025. 3. 6.
[JEUS9] 신규 기능 및 스펙 확인하기 JEUS9는 2024년 10월 17에 릴리즈 된 제품으로 티맥스소프트 JEUS 최신 버전이다.현재 Linux, AIX OS에서만 설치가 가능한 상태이다. 다른 OS는 추후 제공 예정이라고 한다.주요 특징은 JDK8, 11, 17 버전에서 사용 가능하며, JAKARTA EE 9 인증을 받았다.Servlet 5.0 지원 Websoket 2.0 까지 지원되니 개발 및 제품 설치시 JDK 와 Servlet 버전을 꼭 확인하도록 한다.JEUS 기본 설치시 Trial License (5 User 제한) 가 들어가므로 데모 혹은 정식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변경하도록 하자. JEUS9 신규기능, 변경기능 확인 사이트https://www.tmaxsoft.com/kr/download/middleware/JEUS/releas.. 2025. 3. 5.
[WebtoB] Windows Service 등록하기 - Windows OS 에서 WebtoB 서비스 등록이 가능하다.- Windows 서비스 등록 시 OS를 재 기동했을 경우 자동으로 기동 되게 가능하다.- 단 참고해야 할 것이 NAS 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Windows 서비스로 기동하게 될 경우 OS 계정을 타고 들어가는 로직이 있어 NAS 에 접근시 계정권한이 맞지 않아 접근이 안되는 이슈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NAS의 접근 권한 계정 정보(ID/PW) 와 WebtoB 서비스 계정 정보(ID/PW)가 일치 돼야 한다.- 다른 방법으로 CMD로 WebtoB를 기동할 경우 Windows 계정을 타고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CMD로 WebtoB를 기동하여 사용하면 NAS 접근 이슈를 피할 수 있다. 단, CMD를 종료하면 안 된다.(WebtoB가 종.. 2025. 2. 12.
[JEUS] Windows Service 등록하기 - Windows OS 에서 JEUS 서비스 등록이 가능하다.- Windows 서비스 등록 시 OS를 재 기동했을 경우 자동으로 기동 되게 가능하다.- 단 참고해야 할 것이 NAS 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Windows 서비스로 기동하게 될 경우 OS 계정을 타고 들어가는 로직이 있어 NAS 에 접근시 계정권한이 맞지 않아 접근이 안되는 이슈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NAS의 접근 권한 계정 정보(ID/PW) 와 JEUS 서비스 계정 정보(ID/PW)가 일치 되야 한다.- 다른 방법으로 CMD로 JEUS를 기동할 경우 Windows 계정을 타고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CMD로 JEUS를 기동하여 사용하면 NAS 접근 이슈를 피할 수 있다. 단, CMD를 종료하면 안 된다.(JEUS가 종료될 수 있다.)-.. 2025. 2. 11.
[WebtoB] Linux OS에서 WebtoB 컴파일 했는데 Failed to open a temporary file 발생하는 경우 조치하기 - Linux OS에서 WebtoB 를 컴파일(wscfl -i http.m) 했는데 [CFL-00003] Failed to open a temporary file. errno=13(Permission denied) 에러가 발생하며 컴파일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해당 에러는 임시 파일에 접근을 못해 발생하는 이슈로 임시파일에 권한만 부여하면 해결 된다. - 임시파일의 위치는 /tmp 경로이며 위 사진을 보면 /tmp 의 권한이 rwxrwxr-t 인 것으로 확인 된다.- /tmp 에 접근이 가능하려면 other 의 write 권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root 계정으로 chmod o+w /tmp 을 해주면 이슈가 해결 된다. 2025. 2. 10.
반응형